HISTORY OF
WORLD NOODLES

HISTORY OF
WORLD NOODLES

전 세계 면의 역사와 문화

전 세계 면의 역사와 문화

  • 11월호 | 2024-11

    주영하

    성종대왕의 삼남인 안양군(安陽君)의 현손(玄孫) 옥담 이응희. 농사를 짓는 틈틈이 책을 읽고 시를 짓는 것을 낙으로 삼아 지냈던 옥담이 평생 수리산 아래에 살면서 향촌에서 보고 듣고 느낀 것을 담담하게 적어내려간 글을 담았다. 언제부터 먹었을까? 어떻게 먹었을까? 어느 순간에 먹었을까? 우리가 지금 즐겨먹는 음식에 대한 궁금증이 일어날 때

세계 각국 면의 역사와 문화

  • 8월호 | 2024-08

    김욱성

    쌀국수, 특히 포(Phở)로 흔히 알려진 베트남식 쌀국수는 약 10여년 전부터 우리나라에서 많이 찾는 외식 메뉴가 되었다. 감칠맛 가득한 고깃국물에 독특한 향신료의 향, 얇게 썬 고기가 고명으로 올라가고 생(生) 숙주를 뜨거운 국물에 넣어 살짝 숨 죽인 따뜻한 국수는 새로운

  • 7월호 | 2024-07

    박현진

    녹차향, 다이어트, 식감, 항산화 다 잡았다. 녹차를 마실 때 약간의 쓴맛과 떫은맛을 느낄 수 있는데 그것은 차의 주성분인 카테킨(catechin) 때문이다. 대표적인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의 일종인 카테킨은 흔히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고 알고 있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효능이 있어 많은 과학자가

  • 7월호 | 2024-07

    박경은

    소바는 일본인들의 소울푸드다. 에도시대 때부터 대중적으로 먹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진 소바는 일본인들의 식생활 속에 녹아 있다. 일본 문화 콘텐츠 속에서 등장하는 소바는 결코 화려하지 않다. 평범하지만 없어서는 안되는 일상이자 그리운 추억이다. 소설, 영화, 만화 등 다양한 일본 문화

  • 6월호 | 2024-06

    우리나라에서 냉면(冷麵)이라는 단어는 조선 중기 이문건(李文楗)의 《묵재일기(黙齋日記)》 1558년 4월 20일 조에 ‘낮잠을 자다가 일어나 냉면을 먹었더니 발바닥이 차갑다’(寢覺, 乃啗冷糆, 足掌寒矣)는 말 속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냉면 이전에 냉면을 뜻하는 단어인

  • 6월호 | 2024-06

    한일중 세 나라는 같은 듯 다르다. 계절에 따라서 먹는 시식(時食)이 발전했고, 여름이면 더운 밥보다는 시원한 면 요리를 즐긴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얼마나 시원 하느냐, 즉 온도차가 존재한다.

  • 5월호 | 2024-05

    씹을수록 감칠맛나는 속담 속 국수이야기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짧은 문장의 비유적인 말을 속담이라고 한다. 경험을 통해 얻게 된 삶의 지혜와 교훈, 경계해야 할 일 등에 대한 내용을

  • 5월호 | 2024-05

    먹어야만 맛인가? 읽는 것도 맛이 있다! 국수를 소재로 쓴 시나 소설로 식탁 위의 문학 기행을 떠나 보자. 소박한 음식이나 국수 한 그릇엔 정, 그리움, 추억 등이 차고 넘친다. 허기지고 입맛

필진별 추천 칼럼

Noodle Stories

전 세계 면의 역사와 문화

Noodle Lovers

면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Noodle Places

면 요리 맛집 탐방

Noodle Recipes

면사랑의 면과 소스를 활용한 레시피

News

면사랑 기업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