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OF
WORLD NOODLES

HISTORY OF
WORLD NOODLES

전 세계 면의 역사와 문화

전 세계 면의 역사와 문화

  • 6월호 | 2025-06

    남사무엘 셰프

    메밀가루의 가수율은 같은 종목이라도 분말의 상태나 칠 때의 기온, 습도로 몇 퍼센트의 차이가 나오기 때문에 언제나 똑같을 수가 없다. 같지 않다. 특히 습기가 많은 여름철은 다른 계절보다 가수율이 낮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소바는 손의 감각이다. 아무리 가수율을 맞추더라도 매일매일 반죽을 뭉치고 밀고 썰어내는 장인의 손길만큼 정확한 수치는 없을 것이다.

세계 각국 면의 역사와 문화

  • 4월호 | 2025-04

    안충기 작가

    어느 피아노 조율사의 짜장면 주유천하 피아노 조율사가 있다. 인천에 사는 조영권이라는 분이다. 전국을 누비며 피아노를 조율하고, 틈틈이 오래된 동네 중국집을 찾아다닌다. 그가 쓴 『중국집』은 출장길에서 만난 노포(老鋪)들 사연으로 가득하다. 피아노와 중식당, 뜻밖의 조합이지만 짭짤하게 잘 어울린다. 그의 책은

  • 4월호 | 2025-04

    왕육성 셰프

    중화요리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네모난 중식도, 그리고 불타오르는 웍이다. 도마위에서 춤추는 ‘칼의 연주’와 웅장한 화음이 되어 줄 ‘불의 화음’이 바로 중화요리다. 중화요리의 주방은 크게 3가지 판으로 구성되는데 먼저는 재료를 손질하며 요리의 시작을 알리는 칼판, 맛과 향을 입히며

  • 12월호 | 2024-12

    서정민 기자

    우리동네 면국지 면 요리를 좋아한다. 서정’면’이란 별명까지 얻은 적도 있다. 그러니 동네에서 면 요리 잘하는 집을 찾는 건, 집에서 가까운 마트나 병원을 알아두는 것만큼이나 필수적인 행위다.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에서 20년째 살고 있다. 철공소 골목이 집 주변을 감싸고 있다.

  • 11월호 | 2024-11

    넉넉하고 따뜻한, 추억을 일깨우는 ‘칼국수’ 국수를 먹어야지 생각하니 마음이 넉넉해지고 괜히 기분이 좋아진다 여기 칼국수 두 개요, 주문을 하고 나니 속이 따듯해지면서 엄마의 두리반 앞에 엎드린 내가 보인다

  • 11월호 | 2024-11

    ©시니어조선 [권순홍의 맛집] 경기 하남 - 팔당 원조칼제비칼국수 우리는 살면서 가끔 햄릿이 되어 뭔가를 결정해야 하는 중요한 순간에 닥칠 때가 있다. 그 중에서 우리가 가장 빈번하게 접하는 고민의 순간은

  • 11월호 | 2024-11

    안동의 종가에서 만드는 안동국수. 제사 때나 귀한 손님이 왔을 때 대접하는 음식이다. © 경북일보 안동국수의 면은 콩가루와 밀가루의 합작품이다. 안동지역은 콩 재배 면적이 1890 헥타르(2022년

  • 11월호 | 2024-11

    성종대왕의 삼남인 안양군(安陽君)의 현손(玄孫) 옥담 이응희. 농사를 짓는 틈틈이 책을 읽고 시를 짓는 것을 낙으로 삼아 지냈던 옥담이 평생 수리산 아래에 살면서 향촌에서 보고 듣고 느낀 것을 담담하게 적어내려간

필진별 추천 칼럼

Noodle Stories

전 세계 면의 역사와 문화

Noodle Lovers

면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Noodle Places

면 요리 맛집 탐방

Noodle Recipes

면사랑의 면과 소스를 활용한 레시피

News

면사랑 기업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