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짬뽕로드 BEST 5
공주는 백제의 고도로 유명한 역사 도시다. 박찬호와 박세리처럼 설명이 불필요한 선수들의 고향이기도 하다. 그리고, 공주는 의외로 짬뽕의 명소다. 반세기 넘는 전통의 노포부터 현지인들이 줄 서서 먹는 숨은 맛집까지 이번 기획에서는 공주에서 꼭 들려야 할 짬뽕 맛집 5곳을 엄선해 소개한다. 클래식한 옛날 짬뽕부터 마니아들이 극찬하는 화끈한 불짬뽕까지, 짬뽕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절대 놓칠 수 없는 명소들이다. 유적지 만큼이나 유명한 맛집들이 있는 곳. 공주로 떠나는 얼큰한 한 그릇의 여행, 짬뽕 투어를 시작해보자. 01 동해원 “맑은 국물의 깊은 맛을 자랑하는 50년 전통의 짬뽕 맛집” 공주시 중동에 위치한 '동해원'은 1973년에
대만 여행자에게 추천하는 대만 면 요리 맛집 BEST 3
대만의 각 도시에는 우육면집들이 줄지어 있고, 공항에 내리면 ‘대만에 왔다면 반드시 우육면!’이라는 문구를 쉽게 볼 수 있다. 우육면은 이제 대만의 국민 음식, 문화의 아이콘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해외 여행지 우선 순위에 대만이 포함되어 우육면은 더욱 유명해졌다. 뜨끈한 국물 속 깊은 향신료의 풍미, 쫄깃한 면발, 그리고 수십 년을 이어온 내공이 여행자들의 피로를 풀어주는 곳. 대만의 우육면 맛집 3곳을 취재했다. 01 융캉우육면 “타이베이 우육면의 정석을 맛보다” 타이베이 융캉제에 위치한 ‘융캉우육면(永康牛肉麵)’은 1963년부터 대를 이어 운영되고 있는 우육면 전문점이다. 깊고 진한 국물, 부드럽게 삶아낸 소고기, 탱글한 면발의 조화로 현지인과 관광객 모두의 입맛을
일본 나가사키 짬뽕 취재기
나가사키 짬뽕 원조와 숨은 맛집 나가사키를 대표하는 향토음식인 나가사키 짬뽕은 닭과 돼지고기를 우린 뽀얀 육수에 숙주와 양배추, 죽순, 표고버섯, 어묵, 오징어, 새우 등을 넣고 만든 면요리로 나가사키를 방문한다면 반드시 먹어야 할 음식 1순위로 꼽는다. 나가사키 짬뽕은 메이지 32년, 1899년에 시카이로(四海樓)의 창업자인 중국 푸젠성 출신 요리사 천핑순(陳平順)에 의해 탄생했다고 한다. 에도시대에 걸쳐 쇄국정책을 유지하다가 메이지 유신 이후 개항하면서 중국과의 교역과 교류가 활발해졌고, 그로 인해 많은 중국 유학생과 노동자들이 나가사키로 이주했다. 가난한 이들을 위해 가게에서 쓰고 남은 재료를 모아 만든 요리로 저렴하면서도 영양가 높은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고 한다. 짬뽕은
미쉐린 맛집이자 흑백요리사 셰프 맛집, 진진
이곳은 코리아나 호텔 중식당, 대상해의 오너셰프였던 왕육성 셰프와 10여년간 호흡을 맞춰온 제자, 황진선 셰프가 사람들이 호텔 중국식 요리를 좀 더 저렴한 가격에 맛보게 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시작했다고 한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미쉐린 원스타를 시작으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합리적 가격으로 훌륭한 음식을 내는 식당’이라는 의미의 ‘빕 구르망’에 선정된 미슐랭 맛집이다. 그렇다보니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수요미식회 등 방송 맛집으로도 유명하다.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요리 예능 프로그램, 흑백요리사에 황진선 셰프가 출연하며 더욱 핫해졌다. “동네에서 즐기는 호텔요리” 중식의 대중화에 위해 40여년 동안 힘써온 왕육성 셰프의 중식당인 이곳은 방대한 메뉴가 일반적인 중식당의 패러다임에서
칼국수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강릉 장칼국수 Best 3
장칼국수는 칼국수에 고추장과 된장으로 칼칼하게 맛을 낸 요리로 강원도의 향토 음식이다. 강원 영동 지방의 산촌이나 농촌에서는 과거 소금을 구하기가 쉽지 않았고 그렇다 보니 된장이나 고추장을 양념으로 대신하여 얼큰하게 끓여 먹던 습관이 전해져 내려왔는데, 이것이 현재 장칼국수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강원 영서 지방은 막장이 국물의 주재료이고 고추장이 조금 들어가는 반면 영동 지방과 평창권은 고추장에 된장이 약간 들어가는 것이 차이다. 영서 지방이라도 영동 지방과 생활권이 겹치는 정선과 평창지역 내에서도 스타일이 갈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육수를 낼 거리가 풍족하지 못한 강원도 해안가 주민들이 얼큰하게 한 끼 즐기기 위해 개발해낸 국수 요리로 고추장을 잘 담가
담택
라멘 먹으러 일본까지 가야만 했던 때가 있었다. 하지만 요즘은 굳이 가지 않고도 현지 그 맛 그대로 즐길 수 있는 라멘 맛집들이 속속 눈에 들어오고 발길을 끈다. 그 중 한 곳이 바로 소금으로 간을 해 담백한 국물이 인상적인 시오라멘 맛집으로 23년에 이어 미슐랭 가이드 ‘2024 빕 구르망 서울’에 선정된 ‘담택’이다. 합정역 인근의 한적한 골목길에 위치한 이곳은 올 6월에 조금 더 넓은 공간으로 자리를 잡았다. 소품 덕분에 예전 공간과 별반 다르지 않은 감성으로 그 맛 그대로 선보이고 있다. 장소를 넓혀 이사를 했음에도 줄서는 식당, 또간집 등에 소개되면서 여전히 평일에도
브레라 (brera)
이탈리아 음식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바로 파스타(Pasta)다. 도입 초기 스파게티 형태의 파스타가 가장 먼저 소개되면서 다양한 파스타 종류를 통칭하는 ‘파스타’라는 개념보다는 이미 익숙해진 ‘스파게티’라는 단어가 더 널리 알려지며 파스타를 스파게티와 동일시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제는 다양한 파스타 종류와 그에 어울리는 소스는 물론이고 지역별 파스타의 특징까지 알 정도로 많은 사람들의 식견이 넓어졌다. 생면과 건면을 선택해서 즐기는 수준에 이르렀다. 피자와 함께 이탈리아 요리를 대표하는 음식으로 한국인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파스타 수많은 맛집들 중에 저렴한 가격에 푸짐함을 빼놓을 수 없는 미슐랭 인증 맛집이 있어 찾아봤다. 정통 이탈리안 스타일의 화덕피자와 생면 파스타들로 구성된 이곳은 직접 만든 생면은
베트남 쌀국수 VS 태국 쌀국수
음식문화는 대부분 지역에 따라 독특한 맛과 조리법을 가지고 있으며 각 지역의 기후, 농업, 문화,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베트남 쌀국수와 태국 쌀국수는 둘 다 쌀로 만든 국수(Rice Noodles) 요리이지만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다. 여행을 통해 직접 베트남과 태국 현지의 맛을 담으면 더 좋겠지만 현지 느낌과 맛을 재현한 쌀국수 맛집들이 있어 찾아봤다. Quan Anh Đào 국물에 목숨 거는 나라, 베트남 가로수길 ‘콴안다오’ 북부는 하노이를 중심으로 국물이 담백한 퍼 박(Phở Bắc), 중부는 후에를 중심으로 국물이 진하고 매콤한 분 보 후에(Bún Bò Huế), 남부는 호치민을 중심으로 북부에 비해 진하고 풍부한 맛의 퍼
자가제면 소바 맛집 BEST 3
여름 무더위의 열기를 식혀줄 시원한 면요리로 냉면에 이은 소바편 소바(そば)는 그 자체로 ‘메밀’을 뜻하는 말로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메밀은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 붓기, 염증 완화에 도움을 주며 상체에 몰려 있는 기운을 내려줘 고혈압과 뇌출혈 예방 및 완화에도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차가운 성질의 면에 비해 육수는 따뜻한 특성을 가진 재료들이 많다. 육수는 일본식 간장인 ‘쯔유’ 국물에 기호에 따라 간 무, 대파, 고추냉이를 넣어 먹는다. 간장을 구성하는 콩과 소금의 성질이 따뜻할 뿐만 아니라 첨가되는 대파와 고추냉이도 매운 맛으로 양기를 북돋아 위장의 소화력을 촉진하고 입맛이 떨어지는 더운 여름날 식욕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또한
능라밥상
글·사진 : 은나라 능라밥상에는 많은 메뉴들이 있지만 가장 먼저 맛보게 되는 이야기가 있다. 바로 이애란 대표의 스토리다. 이애란 대표는 신의주경공업대학 발효공학과를 졸업한 인재로 생후 4개월 된 아들을 품에 안고 가족들과 함께 탈북하고, 성공적으로 정착하며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탈북자 여성 최초의 박사가 되었고 유명해지기도 했다. 북한전통음식문화연구원을 설립, 한국에 북한 음식 문화를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런 이애란 대표가 서울시 종로구 사직터널 위에 차린 밥상이 바로 ‘능라밥상’이라는 북한 음식 전문점이다. ‘탈북박사 1호’라는 타이틀로 각종 매체에 출연해 유명한 이애란 대표 능라밥상은 100% 메밀 특성상 주문 즉시 면을 뽑아서 삶아낸다.